오늘 쭉 생각하며 아! 하며 깨닮은 결론이다. 결론은 단순하지만 또이미 알고있던 말이지만 이제야
명확히 보인다고할까..
모든 것은 결국 문제 해결이다.
제약안에서 가장 최선의 방법을 찾는것, 그 생각하는 방식이 지금까지 우리가 살아온 방식이다.
프로그래머는 프로그램의 제약사항 안 에서 가장 효율적으로 원하는 기능을 구현하는 문제를 해결하는 직업이다.
이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에는 코드를 통해 얼마나 논리적으로 설명할수있는것이 중요하다.
목수는 고객이 필요한 책상을 나무와 도구라는 제한 안에서 만드는 문제를 해결하는것이다.
이 문제는 가장 효율적으로 어떤 도구와 재료를 통해 효율적으로 가공하는 방법을 모색하는것이 필요하다.
즉 모든 것은 이 문제를 어떻게 해결하느냐에 귀결된다고 볼수있다.
모회사 컨설팅 문제를 혼자 생각해보며 떠오른 것인데,
"전화기에 달린 숫자 0 버튼이 우리나라에서 하루에 몇 번 눌려질까?"
왜 이런 막막한 문제를 물었을까? 분명 결론을 도출해내는 그 과정을 보기 위한것이 아닐까?
사실 이런 문제는 종류만 틀리다 뿐 우리가 일상적으로 겪는 문제 해결의 한 단면이다.
문제를 얼마나 과학적,논리적으로 접근하여 해결하는것인가?
1. 문제를 정의한다.
2. 대상의 유효정보를 파악한다.
- 문제를 분류한다.
- 대상을 모델링한다.
- 비교 모델을 찾고 대상모델과의 공통점을 통해 결과를 유추한다.
3. 유효정보를 통해 결과를 도출한다.
4. 논리적 허점을 찾는다. 그리고 유효정보에 추가한다.
5. 추가된 유효정보를 통해 새로운 결과를 도출한다.
6. 4,5 의 반복을 통해 점점 높은 수준,완성도의 문제 해결방안을 생각한다.
문제 해결에 가장 큰 핵심은 1,2번이다. 아마 컨설턴트등의 직업을 가진 사람들과의 차이는
이 부분을 해결하는 어떤 기술을 가지고있느냐에 있을것이다.
1.문제를 정확히 정의하는것은 문제 해결의 범위를 정하는 것이다.
2.문제를 분류하는 것은 문제의 공통점을 찾고 차이점을 구별하는것이다.
..계속...
명확히 보인다고할까..
모든 것은 결국 문제 해결이다.
제약안에서 가장 최선의 방법을 찾는것, 그 생각하는 방식이 지금까지 우리가 살아온 방식이다.
프로그래머는 프로그램의 제약사항 안 에서 가장 효율적으로 원하는 기능을 구현하는 문제를 해결하는 직업이다.
이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에는 코드를 통해 얼마나 논리적으로 설명할수있는것이 중요하다.
목수는 고객이 필요한 책상을 나무와 도구라는 제한 안에서 만드는 문제를 해결하는것이다.
이 문제는 가장 효율적으로 어떤 도구와 재료를 통해 효율적으로 가공하는 방법을 모색하는것이 필요하다.
즉 모든 것은 이 문제를 어떻게 해결하느냐에 귀결된다고 볼수있다.
모회사 컨설팅 문제를 혼자 생각해보며 떠오른 것인데,
"전화기에 달린 숫자 0 버튼이 우리나라에서 하루에 몇 번 눌려질까?"
왜 이런 막막한 문제를 물었을까? 분명 결론을 도출해내는 그 과정을 보기 위한것이 아닐까?
사실 이런 문제는 종류만 틀리다 뿐 우리가 일상적으로 겪는 문제 해결의 한 단면이다.
문제를 얼마나 과학적,논리적으로 접근하여 해결하는것인가?
1. 문제를 정의한다.
2. 대상의 유효정보를 파악한다.
- 문제를 분류한다.
- 대상을 모델링한다.
- 비교 모델을 찾고 대상모델과의 공통점을 통해 결과를 유추한다.
3. 유효정보를 통해 결과를 도출한다.
4. 논리적 허점을 찾는다. 그리고 유효정보에 추가한다.
5. 추가된 유효정보를 통해 새로운 결과를 도출한다.
6. 4,5 의 반복을 통해 점점 높은 수준,완성도의 문제 해결방안을 생각한다.
문제 해결에 가장 큰 핵심은 1,2번이다. 아마 컨설턴트등의 직업을 가진 사람들과의 차이는
이 부분을 해결하는 어떤 기술을 가지고있느냐에 있을것이다.
1.문제를 정확히 정의하는것은 문제 해결의 범위를 정하는 것이다.
2.문제를 분류하는 것은 문제의 공통점을 찾고 차이점을 구별하는것이다.
..계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