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돈의 가장자리에서..
각 각의 향상적인 걸음 후에 오르막 방향의 예상 숫자는 이전의 반으로 준다. 만약 N = 10000 이고 우리가 가장 덜 적절한 것에서부터 시작한다면, 오르막 방향들의 숫자는 잇따라 10000, 5000, 2500, 1250, ... 이 되는 것이다. 따라서 높아지면 높아질수록, 위쪽으로 계속되는 길을 찾아내기는 더욱더 어려워진다. 위 로 향한 걸음마다 매번 두 배로 많은 길들을 시도해봐야 할 것이다. 물론 당연히 위쪽으로 걸음을 옳기는 예상 대기 시간 역시 위쪽으로의 걸음마다 매번 두 배가 된다. 첫번째 걸음이 1번의 시도를 필요로 한다면, 두번째에는 2번의 시도를, 다음에는 4번, 8번, 16번등으로 말이다. 위쪽으로 10번째 걸음에 이르게 되면 1024번의 시도가 필요하게 되는 것이다. 위쪽으로의 ..
더보기
단축키
내 블로그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새 글 쓰기 |
W
W
|
블로그 게시글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모든 영역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