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Trivia

추상화의 봉쇄 요즘 생각하는 키워드가 추상화에 대한 것이라서인지 어떤 책을 읽어도 연관되어 생각된다. 그중 한가지가 추상화의 봉쇄이다. 만약 우리가 어떤것을 추상적으로 생각할때 가장 주의를 기울여야 하는 부분은 그 추상화가 하위의 개념들과 완벽히 분리되어 있는가 이다. 이 봉쇄란 개념이 없다면 추상화는 의미가 없어져 버린다. 예를들면 시계의 운동이 하위 양자역학에 얽매이게 된다면 시계란 개념을 가질수 없게된다. 마찬가지로 물리와 화학,생물학의 분야가 나눠질수 있게되는 가장 큰 이유중 하나는 각각의 연구가 다른 하위 연구에 대해 봉쇄될 수 있기 때문에 다른 분야의 상세한 지식을 갖지않고도 자신의 연구를 계속할수 있다. 즉 각각의 분야는 서로 공유할수있는 공통된 추상화 명제를 가지고있다. 이명제는 하위 추상화에 대해 봉쇄.. 더보기
추상화의 같은 층위 어떤 부분을 높은 관점에서 본다는것은 그것에 대해 묶음으로 처리할수 있다는 말이다. 그런데 이런 묶음 처리에서도 관점에 따라 묶음을 달리 처리할수있다. 이렇게 처리된 묶음(추상화덩어리) 들은 같은 수준에서의 추상화 층위를 구성한다. 얼마전 SOA의 관한 단상중에서 결론을 내지 못한 부분에 대해 언급을 하자면, Service - Service 는 OS-VM이 실행하는 기능을 추상화한다. 프로그램은 어떤 하나의 기능과 목적을 가지고 있는데 이런 각각의 기능을 전체적으로 하나의 서비스로서 추상화 시킬수있다. SOA- 개개의 서비스들을 구현하기 위해 필요한 인터페이스를 정의한다. 서비스의 내용과는 별개이다. (계속..) Machine - Os & Programming - Service - Instruction .. 더보기
지배계층과 피지배계층 인류는 기원전부터 현재까지 지배와 피지배를 받는 구조로 나눠져 있었다. 예전에는 단순히 육체적 힘이 강한 사람이 약한사람을 지배하는 것이 기준이 되었지만 점점 그 기준은 변화하고 다양화되었다. 현재에 이르러서는 지능 및 외모, 그리고 어떤 집단 및 어디에 소속되느냐, 어느 정도의 부를 가지고있느냐 등에 의해 나눠지게 되었다. 하지만 피지배계층으로서 이러한 구조에서 자신의 위치를 바꿀수 방법이 없는것은 아닌데, 그중 한가지는 새로운 변화에 맞추어 자신을 맡기는 방법이 있다고 볼 수 있겠다. 지배계층과 피지배계층의 구조는 변하지 않더라도 지배계층과 피지배계층을 구성하는 구성원은 변하기 때문이다. 즉 구성원이 변하는 시기를 맞추어 물타기(?)를 하면 된다. 예를들면 프랑스 혁명때에서 시민들을 부추겨서 혁명을 .. 더보기
SOA.? Machine 을 추상화시킨 OS -기계와의 인터페이스인 Api가 근간을 이루고있다. 이 API는 기계의 소통을 추상화한다. OS를 추상화시킨 VM -자바는 OS에 비 의존적인 가상의 머신을 제공하고있다. 이것은 windows,linux의 서로 다른 운영체제를 덮고 있다. VM을 추상화한 서비스. -??아직은 이해부족 서비스를 추상화한 SOA -??? 더보기
혼돈의 가장자리에서.. 각 각의 향상적인 걸음 후에 오르막 방향의 예상 숫자는 이전의 반으로 준다. 만약 N = 10000 이고 우리가 가장 덜 적절한 것에서부터 시작한다면, 오르막 방향들의 숫자는 잇따라 10000, 5000, 2500, 1250, ... 이 되는 것이다. 따라서 높아지면 높아질수록, 위쪽으로 계속되는 길을 찾아내기는 더욱더 어려워진다. 위 로 향한 걸음마다 매번 두 배로 많은 길들을 시도해봐야 할 것이다. 물론 당연히 위쪽으로 걸음을 옳기는 예상 대기 시간 역시 위쪽으로의 걸음마다 매번 두 배가 된다. 첫번째 걸음이 1번의 시도를 필요로 한다면, 두번째에는 2번의 시도를, 다음에는 4번, 8번, 16번등으로 말이다. 위쪽으로 10번째 걸음에 이르게 되면 1024번의 시도가 필요하게 되는 것이다. 위쪽으로의 .. 더보기
추상화와 구상화2 얼마전 쓴 글 추상화와 구상화에 대해 몇가지 더 떠오른 생각들이 있어서 쓴다. 언젠가 나도 생긴 버릇이지만 조금 짜고 컴파일 하고 돌려본다. 뭐 TDD(Test-Driven Development)에서는 좋은 것일지 모르겠지만 로직이 흐르고 정상적으로 동작함을 기계에게 의존하게 된다. 이것이 지속되다 보면 코드의 흐름을 머리속에서 놓쳐 버린다. 부분부분 분명 뭔가를 받고 뭔가를 토해내고는 있지만 이 시스템이 뭘 하고 있는지에 대한 감은 점점 놓친다. 이 시스템이 뭘 하고 있는지에 대한 감을 놓치는 이유는 아마 코딩을 하면서 추상화의 수준을 내려갔기 때문에 애초 무엇을 하려고 했는지에 대한 높은 추상화수준의 감을 놓쳐버린게 아닐까? 즉 정확히 말하면 구상화에 집중함으로서 추상화의 감을 놓쳐버린것이라 볼수있다.. 더보기
추상화와 구상화? 몇일전 아는 지인과 대화중에 깨닭은 점인데, 추상화와 구상화의 범위에 대한 이야기였다. ...omitted... 최상의 아키텍쳐가 걍 그림만 그리는것이 아니다. 오히려 그런 사람들에게는 말단의 코딩 실력까지 상당한 수준이 되어야만 한다. 자신의 선 하나가 실제로 구현될 것 까지 예상을 하며 큰 그림을 머리속에 수행시키고 디버깅하고 검증할 수 있는 사람만이 전체 그림을 그릴 수 있다. ...omitted... (*겐도사마의 재림:코드를 잘뽑아내고싶은가 그럼 컴퓨터를버려라 에서 6번째 단락) 즉 어느 아키텍쳐는 추상화 수준을 자신이 구현하고자 하는 기능의 동작코드까지 단숨에 끌어 내릴수 있어야 한다. 는 이야기라 볼수있다. 하지만 반대로 그 지인은 전체 프로젝트에서 아키텍트가 커버할수 있는 범위가 있다고 했.. 더보기
공부잘하는사람과 머리가 좋은사람. 최근에 아트 디렉터로 유명한 "사토 카시와의 초 정리술"이란 책을 읽고 있고 있다. 책을 읽다보니 얼마전 공부잘하는 사람들의 공통점에 대한 뉴스가 떠올랐다 . 그 뉴스에서 나온 공통점은 공부 잘하는 사람들은 대부분 자신이 공부한것을 항상 정리하여 복습한다는 것이다. 사토 카시와의 초정리술에도 같은 이야기가 나오는데 그는 자신의 일이 남들과 다른 창조적인 작업이 아니라고한다. 자신의 작품들은 특별히 파격적이라든지 혁명적인 것이 아닌 기존에 있던것을 재배치 또는 활용한다는 것이다. 이것은 공간,정보,생각의 정리라고 불리는 정리술로 인해 나온다는 내용이었다. 최근 뇌과학에 관련된 책을 읽고 나서인지 이것은 뇌의 구조에 인한것이라는 생각이 강하게 들었다. 우리는 항상 수많은 정보의 홍수속에 노출되어있다. 시각,.. 더보기
정반합..? 난 도덕수업을 들으며 이해가 안갔던 부분이 많았다. 예를들면 "이론은 정 반 합의 과정을 겪으며 발전해 나간다"는 이야기인데 이해안가는 것은 어떤 이론이든 주장이든 진실or거짓말로서 판단되면 더이상 그것에 대해 반대주장이 나올수있을까 하는 부분이었다. 그것 이외에도 여러 도덕책(철학책)에 나온 이야기들은 무조건적으로 외워서 답을 내는 식이었기 때문에 무슨뜻인지 모르고 외우고는 대부분을 잊어버렸지만 가끔 생각나는 몇몇 구절들은 지금에서야 이해가는 부분이 많다. 이건 내가 머리가 나빠서(-_-)가 아니라 어쩔수 없는게 철학이 말하는 생각안에는 이전부터 발전되어온 생각의 역사가 있어서이다. 보통 새로운 이론이 나오면 그전까지 있었던 이론에 대한 대안적이거나 추가되는 내용이기 때문에 그것을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 더보기
양자역학과 산다는것.. 양자역학의 가장 큰 주제는 불확정성의원리(uncertainty principle)라고 할수있다. 불확정성의원리는 입자의 위치가 확정되면 운동량의 표준편차가 무한대로 되어서 운동량을 알 수 없고 입자의 운동량이 확정되면 위치의 표준편차가 무한대로 되어서 위치를 알 수 없다는 자연계의 법칙이다. 좀더 쉽게 풀이하자면 어떤 입자는 플랑크상수 범위 내에서 그 위치와 운동량을 정확히 측정하지못하는 상태로 다만 확률분포로서 표현될수있는데 , 이것은 입자가 어떤 시간에 어떤 지점에 존재한다는 직관과 위배된다. 다시말해 그 범위 안에서는 어떤지점에서든 존재한다는 이야기이다. 개인적인 표현으로 존재의 중첩이란 말로 표현할 수 있는데 하나의 존재가 동시에 중첩되어 존재한다는 말이다. 예를들면 빛은 항상 최소의 경로로 움직.. 더보기